심뇌혈관질환이란?
심뇌혈관질환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인 심장과 뇌에 발생한 질환을 말합니다.「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르면 심뇌혈관질환은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질환’으로서,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심장정지,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 중 심뇌혈관질환의 비중
우리나라에서 심뇌혈관질환은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급속한 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3년 사망원인통계(통계청)에 따르면 심뇌혈관질환은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 10개 중 4개(2위 심장질환, 4위 뇌혈관질환, 7위 당뇨병, 8위 고혈압성질환)를 차지하며, 심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자수는 전체 사망의 21.7%를 차지합니다.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심뇌혈관질환 발생의 위험요인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과체중, 흡연 등이며, 기온 변화도 영향을 줍니다. 특히, 여름의 더위와 겨울의 추위는 혈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더욱 세심한 관심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심뇌혈관질환의 위험 요소를 미리 알고 대처한다면, 질병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1)
심뇌혈관질환의 선행질환(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진단기준
혈압의 분류
자료: 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 대한고혈압학회(2022)
당뇨병의 진단기준
자료: 2021년 당뇨병 진료지침. 대한당뇨병학회(2021)
- *당화혈색소는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해야 한다.
- **진단기준의 ➀➂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서로 다른 날 검사를 반복해야 하지만, 동시에 시행한 검사들에서 두 가지 이상을 만족한다면 바로 확진할 수 있다.
한국인의 이상지질혈증 진단기준
자료: 2022 이상지질혈증 지료지침(제5판).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