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

서울시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는 서울시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

설문조사

    심뇌혈관질환이란?

    심뇌혈관질환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인 심장과 뇌에 발생한 질환을 말합니다.「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르면 심뇌혈관질환은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또는 그 선행질환’으로서,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심장정지,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 중 심뇌혈관질환의 비중

    우리나라에서 심뇌혈관질환은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급속한 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3년 사망원인통계(통계청)에 따르면 심뇌혈관질환은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 10개 중 4개(2위 심장질환, 4위 뇌혈관질환, 7위 당뇨병, 8위 고혈압성질환)를 차지하며, 심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자수는 전체 사망의 21.7%를 차지합니다.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심뇌혈관질환 발생의 위험요인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과체중, 흡연 등이며, 기온 변화도 영향을 줍니다. 특히, 여름의 더위와 겨울의 추위는 혈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더욱 세심한 관심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심뇌혈관질환의 위험 요소를 미리 알고 대처한다면, 질병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1)

    1) 국가건강정보포털, 질병관리청


    심뇌혈관질환의 선행질환(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진단기준



    혈압의 분류
    혈압분류 수축기혈압(mmHg) 이완기혈압(mmHg)
    정상혈압 <120 그리고 <80
    주의혈압 120~129 그리고 <80
    고혈압 전단계 130~139 그리고 80~89
    고혈압 1기 140~159 또는 90~99
    2기 ≥ 160 또는 ≥ 100
    수축기 단독고혈압 ≥ 140 그리고 <90
    자료: 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 대한고혈압학회(2022)

    당뇨병의 진단기준
    혈압분류
    ➀ 당화혈색소* 6.5% 이상 또는
    ➁ 8시간 이상 공복 후 혈장포도당 126mg/dL 이상 또는
    ➂ 75g 경구포도당부하검사 후 2시간 후 혈당 200mg/dL 이상 또는
    ➃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다뇨,다음,설명되지 않는 체중감소)이 있으면서 무작위 혈장포도당 200mg/dL이상
    당뇨병 전단계의 진단기준
    ➀ 공복혈당장애: 공복혈당장애 진단기준은 공복혈당 100-125mg/dL
    ➁ 내당능장애: 75g 경구포도당부하 2시간 후 혈당 140-199mg/dL
    ➂ 당화혈색소: 5.7-6.4%
    자료: 2021년 당뇨병 진료지침. 대한당뇨병학회(2021)
    • *당화혈색소는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해야 한다.
    • **진단기준의 ➀➂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서로 다른 날 검사를 반복해야 하지만, 동시에 시행한 검사들에서 두 가지 이상을 만족한다면 바로 확진할 수 있다.

    한국인의 이상지질혈증 진단기준
    LDL 콜레스테롤(mg/dL)
    매우 높음 ≥ 190
    적정 160-189
    정상 130-159
    경계 100-129
    높음 <100
    총콜레스테롤(mg/dL)
    높음 ≥ 240
    경계 200-239
    적정 <200
    중성지방(mg/dL)
    매우 높음 ≥ 500
    높음 200-499
    경계 150-199
    HDL 콜레스테롤(mg/dL)
    낮음 ≤ 40
    높음 ≥ 60
    자료: 2022 이상지질혈증 지료지침(제5판).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2022)